인공지능 발전으로 인해서 대체될 수 있는 직업, 앞으로 미래 예상

일명 AI 발전으로 인해서 사람들의 직업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특정 직종에 대해서는 당장 큰 영향이 있고 신입사원을 거의 뽑고 있지 않습니다.

구체적인 직업과 함께 다양한 예측을 알아보겠습니다.

데이터

인공지능 미래
Created by ai

쉽게 말하면 자료를 분석하거나 해석하는 일에서 현재 수준의 ai로도 사람의 일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변호사가 업무를 위해 판례를 찾는 사무원, 수학적인 그래프를 해석하는 연구원 등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일들은 인공지능에게 아주 쉽습니다.

단순 자료 수집과 분석은 사람이 하면 몇시간이 걸릴 일을 ai는 몇초만에 해냅니다.

또한 단순 번역의 경우에도 ai의 수준이 높습니다.

일부 오타와 단어만 수정하면 당장 번역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각 종 대화형 ai에 자료를 넣고 특정 언어로 번역하면 정확도가 98~99%로 분석됩니다.

숫자, 자료, 언어 등의 단순한 인풋을 입력해서 아웃풋으로 출력하는 일은 지금 시점에서도 대체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올해 이런 분야들의 신입사원을 대규모 감축하며 평균적인 규모와 비교하면 50~60% 수준으로 채용의 감소가 예상됩니다.

코딩의 경우에는 이미 작년부터 이런 현상이 있었습니다.

특히 컴퓨터언어로 된 코딩은 가장 빠른 발전을 하며 올해안으로 더이상 신입채용이 필요없고 기존 인력도 해고도 예상됩니다.

코딩 분야면 천재가 아닌 이상 더이상 신입으로 입사하기 어렵고 기존에 일을 하고 있어도 필수인력이 아니라면 해고될 수 있습니다.

휴머니즘

앞서 언급한 예시와 상황만 생각하면 너무 부정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ai가 대체하기 어렵고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고유 영역도 있습니다.

판사, 국회의원, 선생님 등은 아무리 인공지능이 발전해서 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아무리 뛰어난 ai가 있다고 해도 판결을 ai가 한다면 사람이 선뜻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로봇이 판결을 하며 선고를 한다면 알 수 없는 위화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국회의원에 경우에도 ai의 판단 능력이 아주 좋다고 해도 국가의 중요한 결정을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한다면 거부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도덕성과 함께 오류를 지적해 줘야 됩니다.

현재 교육 프로그램도 인공지능에 많이 의존하지만 여전히 오류는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선생님 오류를 찾아서 아이들에게 제대로 알려주거나 오류를 보고해서 더 좋은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해야 됩니다.

즉 사람의 감정과 의사를 결정하는 분야에서는 인력 감축이 거의 없거나 적을 수 있습니다.

기타

같은 분야라도 하는 일에 따라서 감축의 규모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법조계라도 직접 법을 다루는 변호사, 판사 등은 기존처럼 규모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10~20% 감소가 예상됩니다.

법률보조원, 사무원 등은 40~50%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의사에 대해서 여러가지 논쟁이 많지만 기본적으로 수술과 치료는 감정보다는 공학에 더 가깝습니다.

소득이 많은 전문직중에서는 의사가 가장 빠르게 대체될 수 있고 20~30% 감소가 예상됩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숫자, 문자를 정량화해서 정리하고 처리할 수 있는 일들이 빠르게 대체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감정이 많이 들어간 분야보다는 과학적으로 공학적인 방식으로 일하는 분야에서 파급력이 크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10년 안에는 지금보다 훨씬 많은 실직자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서 기본소득이 현실화되는 상황입니다.

기본소득은 신입사원의 월급보다는 낮을 수 있습니다. 기본소득이 실현되면 미취업자에게 한달 150~200만원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