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ai가 빠르게 발전하며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이제는 대부분의 직업이 기계로 대체되는 것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 상용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당장은 걱정이 없지만 5년 안에는 생각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생각

쉽게 예를 들면 컴퓨터, 스마트폰이 발전하며 과거보다 개인화된 생활을 예를 들어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얼굴을 마주보고 소통하고 사람과 대화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지역공동체, 가족공동체가 원활하게 작동하며 고립되는 사람없이 항상 축제같은 분위기가 있었습니다.
지금은 생활을 훨씬 편리해졌지만 따듯한 교류는 많이 감소했습니다.
물론 예전이면 손으로 다 했던 일을 이제는 스마트폰 하나로 하기 때문에 편해서 오히려 좋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최근
예전보다 정이 줄어들긴 했지만 대부분 이런 삶에 적응했고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사회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모든 것이 자동화되고 노동이 거의 필요하지 않다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사람으로서 가치는 노동을 하며 무언가에 집중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것에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일이 기계와 인공지능으로 대체되면 90% 이상이 실직할 것 이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발전 속도, 인프라 구축을 생각하면 아무리 빨라도 10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인류의 역사와 현재 경제 구조를 생각하면 10년만에 90%가 실직한다는 것은 아주 놀라운 사건이 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사람이 뭘 해야 되는지 모를 수 있고 경제 구조와 완전히 바뀌며 기본소득이 현실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변화에 맞게 다른 삶을 제시하고 정부 차원에서도 새로운 세계에 대한 구상을 해야 됩니다.
뭔가 패닉을 와서 혼란이 온다면 말 그대로 인간성을 상실하고 동물이나 다름 없을 수 있습니다.
기타
이른바 디스토피아가 현실화되며 영화, 드라마에서 시청했던 미래가 현실화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다소 극단적인 예상이고 실제로는 다른 방안이 될 수 있습니다.
기본소득으로 경제 활동을 하며 운동, 공부 등으로 경쟁을 하는 건전한 사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사람이 운동, 공부를 통해서 데이터를 쌓고 연구를 한다면 좋은 자료가 되고 또 다른 기술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돈을 위해 노동을 했다면 미래에는 전 인류적인 발전을 위해서 노동을 할 수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변화가 있을지 구체적으로 맞추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전반적인 흐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전과 다른 사회구조와 함께 혁신적인 기술의 발전이 나올 수 있습니다.
현재 하는 일에 성과가 없다고 해서 좌절하지 말고 다가오는 ai 시대를 대비하며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